FC 바니크 오스트라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1922년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라는 이름으로 창단된 체코의 축구 클럽이다. 클럽은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사용하며, 1993년부터 2016년까지 체코 1부 리그에서 활동했고, 2017-2018 시즌에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했다.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체코슬로바키아 및 체코 1부 리그에서 총 4회 우승, 체코슬로바키아 컵과 체코 컵에서 총 4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유럽 대항전에서도 8강, 4강 진출의 성적을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코 1부 리그 구단 - FC 슬로반 리베레츠
FC 슬로반 리베레츠는 1958년에 창단된 체코의 축구 클럽으로, 체코 1부 리그에서 3회, 체코 컵에서 2회 우승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등 유럽 대항전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체코 1부 리그 구단 - FK 두클라 프라하
FK 두클라 프라하는 체코 프라하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11회 우승, 체코슬로바키아 컵 8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2024년 현재 체코 1부 리그에 참가하고 홈 구장은 스타디온 율리스카이다. - 1922년 설립된 축구단 - 교토 상가 FC
교토 상가 FC는 1922년 교토 자광 클럽으로 시작하여 J리그에서 활동하며, 2002년 천황배 우승, J1과 J2리그를 오가다 2021년 J2리그 준우승으로 J1리그에 승격하여 보라색 유니폼을 입고 교세라 산가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1922년 설립된 축구단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Socceroos)은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22년 데뷔 후 월드컵 진출에 어려움을 겪다 1980년대 후반 '황금 세대'를 맞이하며 성장, 2006년 AFC 가입 후 아시안컵 우승과 월드컵 16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며 여러 국가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Football Club Baník Ostrava, a.s. |
별칭 | 차차르지, 바니체크 |
창립 | 1922년 9월 8일 (SK 슬레스카 오스트라바) |
홈구장 | 메스트스키 스타디온, 오스트라바 |
수용 인원 | 15,123명 |
회장 | 바츨라프 브라베츠 |
감독 | 파벨 하팔 |
리그 | 체코 1부 리그 |
시즌 | 2023-24 |
순위 | 16팀 중 4위 |
현재 시즌 | 2024–25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시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흰색 상의, 파란색 하의, 흰색 양말 |
원정 유니폼 | 검은색 상의, 검은색 하의, 검은색 양말 |
세 번째 유니폼 | 파란색 상의, 흰색 하의, 파란색 양말 |
2. 명칭의 변화
연도 | 명칭 |
---|---|
1922 |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 (Sportovní klub Slezská Ostravacs) |
1945 | SK 오스트라바 (Sportovní klub Ostravacs) |
1948 | 소콜 트로이체 오스트라바 (Sokol Trojice Ostravacs) |
1951 | 소콜 OKD 오스트라바 (Sokol Ostravsko-Karvinské Doly Ostravacs) |
1952 | DSO 바니크 오스트라바 (Dobrovolná Sportovní Organizace Baník Ostravacs) |
1961 | TJ 바니크 오스트라바 (Tělovýchovná Jednota Baník Ostravacs) |
1970 | TJ 바니크 오스트라바 OKD (Tělovýchovná jednota Baník Ostrava Ostravsko-karvinské dolycs) |
1990 |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Football Club Baník Ostrava, a.s.cs) |
1994 |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탱고 (Football Club Baník Ostrava Tango, a.s.cs) |
1995 |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Football Club Baník Ostrava, a.s.cs) |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1922년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Sportovní klub Slezská Ostrava)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다.[1] 이후 여러 차례 클럽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3. 역사
연도 명칭 1922 SK 슬레즈카 오스트라바 (Sportovní klub Slezská Ostrava) 1945 SK 오스트라바 (Sportovní klub Ostrava) 1948 소콜 트로이체 오스트라바 (Sokol Trojice Ostrava) 1951 소콜 OKD 오스트라바 (Sokol Ostravsko-Karvinské Doly Ostrava) 1952 DSO 바니크 오스트라바 (Dobrovolná Sportovní Organizace Baník Ostrava) 1961 TJ 바니크 오스트라바 (Tělovýchovná Jednota Baník Ostrava) 1970 TJ 바니크 오스트라바 OKD (Tělovýchovná jednota Baník Ostrava Ostravsko-karvinské doly) 1990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Football Club Baník Ostrava, a.s.) 1994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탱고 (Football Club Baník Ostrava Tango, a.s.) 1995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Football Club Baník Ostrava, a.s.)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는 프라하 팀들이 주도했기 때문에, 1937년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의 1부 리그 승격은 큰 성공이었다. 1937년 8월 22일 스타라 스트렐니체 경기장에서 1. ČsŠK 브라티슬라바를 상대로 첫 1부 리그 경기를 치렀고, 두 번째 경기에서는 국가대표팀 선수들이 포진한 스파르타 프라하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4] 1940년 강등되기 전까지 1부 리그에서 세 시즌을 보냈다.
1943년,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는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하며 지역 주민들의 축구에 대한 관심을 크게 높였다. 루돌프 아스무스가 클럽의 새 응원가를 불렀고, 슬라비아 프라하와의 홈경기에는 33,000명의 관중이 몰려 역대 최다 관중 수를 기록했다.[5]
체코슬로바키아 시대에 리그 우승 4회를 기록했으며, 국제 경기에서도 1989년 미트로파 컵 우승, 1974년 UEFA컵 8강, 1978년 UEFA 컵 위너스 컵 준결승, 1981년 UEFA 챔피언스 컵 8강 진출 등의 성과를 남겼다.
3. 1. 창단과 1937년까지의 역사
1922년 9월 8일, "U Dubu" 레스토랑에서 20명의 활동가들이 창립 조약을 체결하면서 ''SK Slezská Ostrava''로 창단되었다.[1] 창립자들은 대부분 오스트라바의 카메네츠 탄광 정착지 출신의 가난한 탄광 광부들이었다. 창립자는 카렐 아니올, 아르노슈트 하베르키에비치, 페트르 크르지자크, 프란티셰크 므루제크, 야로슬라프 호라크였다.[1]
초기 SK Slezská Ostrava는 가난한 클럽이었기 때문에 클럽 운영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어려웠다. 자체 경기장이 없어 더 부유한 클럽에서 경기장을 빌려야 했다. 1925년 가을, 카메네츠에 처음으로 자체 경기장이 건설되었지만, 돌이 많아 축구 관계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했다. 1934년, 클럽 활동가들은 지역 부유한 사업가인 빌체크 백작으로부터 "스타라 스트르젤니체"의 토지를 임대하는 데 성공했고, 같은 해 여름 동안 그곳에 새로운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많은 노동자들이 무료로 건설을 도왔으며, 노동자들과 탄광 광부들은 종종 교대 근무를 마치고 바로 경기장 건설에 참여했다.[2]
SK Slezská Ostrava는 1923년 봄 리그 시스템에서 다른 팀들과 경쟁하기 시작했다. 최하위 디비전(III. třída župy)에서 시작하여 같은 해 상위 디비전으로 승격되었다. 1934년에는 모라비아-실레지아 디비전으로 승격하면서 도시에서 인기 있는 팀이 되었고 대중의 관심이 높아졌다. 1935년 슬로반 오스트라바와의 더비 경기는 "스타라 스트르젤니체"에서 5,400명의 관중이 지켜봤다.[3]
3. 2. 1937년부터 1952년까지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는 1937년 8월 22일 1. ČsŠK 브라티슬라바를 상대로 ''스타라 스트렐니체''에서 1부 리그 첫 경기를 치렀다. 당시 1부 리그는 프라하 팀들이 주도하고 있었기에,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에게 1부 리그 승격은 큰 성공이었다.[4] 두 번째 경기에서 신생팀은 프라하에서 국가대표팀 선수들로 가득한 스파르타 프라하를 3-2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4]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는 1940년 강등되기 전까지 1부 리그에서 세 시즌을 뛰었다.
1943년, SK 슬레즈스카 오스트라바는 다시 1부 리그로 승격했다. 이는 지역 주민들의 축구에 대한 관심을 크게 높였고, 오페라 가수 루돌프 아스무스가 클럽의 새 응원가를 불렀다. 1943-44 시즌 슬라비아 프라하와의 홈경기에는 33,000명의 관중이 몰려 역대 최다 관중 수를 기록했다.[5]
3. 3. 1952년부터 1967년까지
1952년, 클럽은 DSO 바니크 오스트라바라는 이름을 채택했다. 1954년, 스파르타 프라하에 이어 리그 2위를 차지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59년에는 실레츠카 오스트라바에 새로운 바잘리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1965-66 시즌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 1년 후 다시 최고 리그로 승격했다.[4]
3. 4. 황금기 (1970년대-1980년대 초)
바니크는 1972-73 시즌과 1977-78 시즌에 체코슬로바키아 컵에서 우승했다. 1975-76 시즌에는 처음으로 체코슬로바키아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1979-80 시즌과 1980-81 시즌에는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1980-81 UEFA 유러피언컵 8강에 진출했다.[4] 1974년 UEFA컵 8강, 1978년 UEFA 컵 위너스 컵 준결승, 1981년 UEFA 챔피언스 컵 8강 진출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3. 5. 1983년 이후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1988-89 시즌과 1989-90 시즌에 리그 2위를 차지했고, 1991년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컵에서 우승했다. 2003-04 시즌에는 체코 공화국 리그에서 우승했다.[19]
3. 6. 2016년 이후: 바츨라프 브라베츠 시대
2015-16 시즌에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크로메르지시 출신의 체코 백만장자인 바츨라프 브라베츠에게 인수되었다.[5] 이후 2016-17 시즌에 체코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2016–17 시즌 2위를 기록하며 2017–18 시즌 체코 1부 리그 복귀를 위한 팀 재건을 시작했다.
바츨라프 브라베츠는 구단주 취임 전까지 유소년 훈련 시설이 없었던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를 위해 세 곳의 시설에 1.5억체코 코루나를 투자했다.
1) 2017년 J. 슈팔의 K-9 초등학교와 파트너십을 맺어 천연 잔디 구장 2면과 인조 잔디 구장 1면을 유소년 육성에 사용하게 되었다.
2) 비스타에 새로운 훈련장을 건설(2019년 초 완공 예정)하여 유소년 팀을 위한 인조 잔디 구장 2면과 천연 잔디 구장 1면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3) 드보르자크 고등학교와 협력하여 선수들이 스포츠 경영학 학위를 취득하고 20~25명의 선수들이 함께 훈련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또한 시 소유의 바잘리 시설을 유소년을 위한 5개의 훈련 구장으로 개조하는 아카데미 운영권을 획득했다.
바츨라프 브라베츠는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출신의 체코 국가대표 선수였던 마레크 얀쿨로프스키를 두산 브르초의 후임 스포츠 디렉터로 영입했다. 얀쿨로프스키는 2018–19 시즌을 위해 다니엘 홀저, 파트리지오 스트로나티, 아담 야노시 등의 선수들을 영입했다.
2020–21 시즌에 마레크 얀쿨로프스키는 회장 이사직을 맡기 위해 사임했다. 밀란 바로시는 은퇴했다. 2020/21 시즌 전에 FC 슬로바츠코에서 얀 유로슈카와 토마시 자이치가 영입되었다. 새로운 팀 유니폼 공급업체는 기존의 아디다스를 제치고 푸마가 선정되었다.
4. 경기장
과거 홈 구장이었던 바잘리 스타디온은 1953년부터 2015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수용 인원은 약 17,500명이었지만, 전성기에는 20,000명 이상의 입석 관중이 흔히 있었다. 현재 바잘리 부지는 5개의 훈련 구장을 갖춘 유소년 아카데미로 변모하고 있다.
현재 홈 구장은 므녜스트스키 스타디온 – 비트코비체 아레나이며, 수용 인원은 15,275명이다.[10]
오스트라바시는 과거 석탄 광산 자루베크가 있던 지역에 축구 전용 경기장을 건설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계획은 초기 단계에 있으며, 예상 건설 시기는 아직 없다.
5. 서포터
바니크의 울트라 서포터들은 스스로를 지역 방언으로 "나쁜 녀석들"을 뜻하는 ''차차리''라고 부른다.[14] 일부 울트라의 노래는 노래를 부를 뿐만 아니라 클럽을 위해 싸울 의지를 자랑스럽게 보여주는 가사를 담고 있다. 바니크의 울트라는 GKS 카토비체(폴란드)와 오랜 우정을 맺고 있으며, 2006년에는 파트너십 10주년을 기념하기도 했다. 이 기념은 양 클럽 이사진이 주최한 두 팀 간의 경기로 이루어졌으며, GKS 경기장에서 열렸다. 90분 동안 양 팀 팬들은 서로의 응원가를 불렀으며, 경기 종료 후에는 최종 휘슬이 울리자마자 그라운드로 달려가 스카프를 교환하고 포옹하기 위해 금속 울타리를 넘었다.[15]
6. 선수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과거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밀란 바로시cs, 마레크 얀쿨로프스키cs, 토마시 갈라세크cs[17] 등 체코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이 팀을 거쳐갔다. 이형상[17]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이 팀에서 활동했다.
주요 선수들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19]
# | 이름 | 골 |
---|---|---|
1 | 밀란 바로시cs | 45 |
2 | 마틴 루케시cs | 42 |
바츨라프 스베르코시cs | ||
4 | 페트르 사메츠cs | 27 |
마틴 치제크cs | ||
6 | 마리오 리치카cs | 25 |
다비트 부흐타cs | ||
8 | 레네 볼프cs | 24 |
루카시 마게라cs | ||
네마냐 쿠즈마노비치sr | ||
에베르톤pt |
# | 이름 | 무실점 경기 |
---|---|---|
1 | 얀 라슈투프카cs | 74 |
2 | 비트 바라넥cs | 46 |
3 | 페트르 바셰크cs | 31 |
- 파벨 스르니체크cs
- 토마시 렙카cs
- 토마시 갈라세크cs
- 마레크 얀쿨로프스키cs
- 밀란 바로시cs
- 바츨라프 스베르코시cs
- 즈데네크 포스페흐cs
- 라디슬라프 라탈cs
- 마레크 하인츠cs
- 이형상한국어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2월 19일 기준)
2024년 12월 19일 기준 선수 명단이다.[16]포지션 | 국가 | 이름 |
---|---|---|
MF | 패트릭 크포조 | |
DF | 무하메드 사네 | |
FW | 데이비드 파다이로 | |
FW | 압둘라히 탄코 | |
MF | 쿠아드리 아데바요 아데디란 | |
MF | 에베르통 파이샹 다 시우바 | |
MF | 로베르트 미슈코비치 |
6. 2. 유명 선수
밀란 바로시cs[17], 마레크 얀쿨로프스키cs[17], 토마시 갈라세크cs[17] 등 체코를 대표하는 선수들이 FC 바니크 오스트라바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특히, 이형상[17]은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이 팀에서 활동하며 한국 축구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이름 | 골 |
---|---|---|
1 | 밀란 바로시cs | 45 |
2 | 마틴 루케시cs | 42 |
바츨라프 스베르코시cs | ||
4 | 페트르 사메츠cs | 27 |
마틴 치제크cs | ||
6 | 마리오 리치카cs | 25 |
다비트 부흐타cs | ||
8 | 레네 볼프cs | 24 |
루카시 마게라cs | ||
네마냐 쿠즈마노비치sr | ||
에베르톤pt |
# | 이름 | 무실점 경기 |
---|---|---|
1 | 얀 라슈투프카cs | 74 |
2 | 비트 바라넥cs | 46 |
3 | 페트르 바셰크cs | 31 |
- 파벨 스르니체크cs
- 토마시 렙카cs
- 토마시 갈라세크cs
- 마레크 얀쿨로프스키cs
- 밀란 바로시cs
- 바츨라프 스베르코시cs
- 즈데네크 포스페흐cs
- 라디슬라프 라탈cs
- 마레크 하인츠cs
- 이형상한국어
7.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파벨 브르바 | 2003 |
라도슬라프 라탈 | 2012 |
밀란 마찰라 | 1986–1990 |
파벨 말루라 | 2011-2012 |
Glass | 1923–1935 |
카렐 네날cs | 1936년 2월 ~ 1936년 9월 |
카렐 뵘cs | 1936년 9월 ~ 1937년 2월 |
카렐 흐로마드니크cs | 1937년 2월 ~ 1937년 9월 |
라디슬라프 홀레체크cs | 1937년 10월 ~ 1937년 12월 |
빌렘 루그르cs | 1938년 1월 |
카렐 뵘cs | 1938년 1월 ~ 1938년 3월 |
카렐 텍사cs | 1938년 3월 ~ 1938년 4월 |
카렐 뵘cs | 1938년 4월 ~ 1938년 6월 |
즈데네크 스테플리크cs | 1938년 7월 ~ 1939년 6월 |
안토닌 크르지슈탈cs | 1939년 6월 ~ 1940년 1월 |
카렐 뵘cs | 1940년 1월 ~ 1941년 5월 |
에브젠 셰노브스키cs | 1941년 5월 ~ 1941년 8월 |
안토닌 룸레르cs | 1941년 8월 ~ 1942년 8월 |
바츨라프 호라크cs | 1942년 9월 ~ 1943년 8월 |
프란티셰크 유레크cs | 1943년 8월 ~ 1945년 8월 |
프란티셰크 벨리크cs | 1945년 9월 ~ 1946년 2월 |
프란티셰크 쿠흐타cs | 1946년 2월 ~ 1946년 6월 |
요세프 쿠친카cs | 1946년 6월 ~ 1948년 3월 |
얀 가바치cs | 1948년 3월 ~ 1948년 5월 |
바츨라프 호라크cs | 1948년 5월 ~ 1949년 1월 |
미로슬라프 바르토시cs | 1949년 1월 ~ 1949년 10월 |
프란티셰크 비치슈테cs | 1949년 10월 ~ 1950년 9월 |
야로슬라프 시모네크cs | 1950년 9월 ~ 1951년 2월 |
루돌프 비트라칠cs | 1951년 3월 ~ 1952년 1월 |
베드르지흐 샤플cs | 1952년 2월 ~ 1952년 11월 |
야로슬라프 시모네크cs | 1952년 12월 ~ 1956년 2월 |
프란티셰크 세들라체크cs | 1956년 2월 ~ 1957년 4월 |
안토닌 호날cs | 1957년 4월 ~ 1957년 5월 |
프란티셰크 비치슈테cs | 1957년 6월 ~ 1958년 6월 |
야로슬라프 베이보다cs | 1958년 7월 ~ 1960년 7월 |
프란티셰크 부프카cs | 1960년 8월 ~ 1964년 12월 |
즈데네크 샤예르cs | 1965년 1월 ~ 1965년 12월 |
프란티셰크 비치슈테cs | 1966년 1월 ~ 1966년 6월 |
이르지 크르지자크cs | 1966년 7월 ~ 1966년 12월 |
요제프 추르갈리cs | 1967년 1월 ~ 1967년 7월 |
올드르지흐 슈브르트cs | 1967년 7월 ~ 1969년 8월 |
이르지 루바슈cs | 1969년 8월 ~ 1970년 6월 |
프란티셰크 입세르cs | 1970년 7월 ~ 1971년 8월 |
즈데네크 스탄코cs | 1971년 8월 ~ 1971년 12월 |
카롤 부츠코cs | 1972년 1월 ~ 1972년 8월 |
프란티셰크 신델라르cs | 1972년 8월 ~ 1972년 10월 |
토마시 포스피할cs | 1972년 10월 ~ 1975년 12월 |
이르지 루바슈cs | 1976년 1월 ~ 1977년 12월 |
에브젠 하담치크cs | 1978년 1월 ~ 1983년 6월 |
스타니슬라프 야라베크cs | 1983년 7월 ~ 1984년 6월 |
요세프 콜레츠코cs | 1984년 7월 ~ 1986년 6월 |
야로슬라프 쥐르틀레르cs | 1990년 7월 ~ 1992년 6월 |
이반 코페츠키cs | 1992년 7월 ~ 1992년 11월 |
야로슬라프 야노시cs | 1992년 11월 ~ 1992년 12월 |
베르너 리치카cs | 1992년 12월 ~ 1995년 4월 |
야로슬라프 야노시cs | 1995년 4월 ~ 1995년 6월 |
얀 자하르cs | 1995년 7월 |
야로슬라프 야노시cs | 1995년 7월 ~ 1995년 8월 |
얀 자하르cs | 1995년 9월 ~ 1996년 7월 |
페트르 울리치니cs | 1996년 7월 ~ 1997년 9월 |
베르너 리치카cs | 1997년 9월 ~ 2000년 3월 |
로스티슬라프 보이아체크cs | 2000년 3월 ~ 2000년 6월 |
밀란 복샤cs | 2000년 7월 ~ 2000년 11월 |
야로슬라프 쥐르틀레르cs | 2000년 11월 ~ 2001년 4월 |
베르너 리치카cs | 2001년 5월 |
요제프 야라빈스키cs | 2001년 6월 ~ 2002년 5월 |
에리히 츠비에르트나cs | 2002년 6월 ~ 2003년 4월 |
프란티셰크 코므냐츠키cs | 2003년 6월 ~ 2004년 10월 |
요제프 야라빈스키cs | 2004년 10월 ~ 2005년 8월 |
파벨 하팔cs | 2005년 8월 ~ 2006년 6월 |
카렐 베체르자cs | 2006년 7월 ~ 2009년 4월 |
베르너 리치카cs (임시) | 2009년 4월 ~ 2009년 6월 |
미로슬라프 쿠베크cs | 2009년 6월 ~ 2010년 10월 |
베르너 리치카cs | 2010년 10월 ~ 2010년 11월 |
카롤 마르코cs | 2010년 11월 ~ 2011년 7월 |
마틴 풀피트cs | 2012년 10월 ~ 2013년 5월 |
마틴 스베디크cs | 2013년 5월 ~ 2013년 12월 |
프란티셰크 코므냐츠키cs | 2013년 12월 ~ 2014년 4월 |
토마시 베르나디cs | 2014년 4월 ~ 2014년 12월 |
페트르 프르냐카cs | 2014년 12월 ~ 2015년 6월 |
라도미르 코리타르cs | 2015년 6월 ~ 2016년 1월 |
브라티슬라프 페트르젤라cs | 2016년 1월 ~ 2017년 5월 |
라딤 쿠체라cs | 2017년 6월 ~ 2018년 3월 |
보후밀 파니크cs | 2018년 3월 ~ 2019년 12월 |
루보시 코젤cs | 2019년 12월 ~ 2021년 2월 |
온드르제이 스메타나cs | 2021년 2월 ~ 2022년 4월 |
토마시 갈라세크cs | 2022년 4월 ~ 2022년 6월 |
파벨 브르바 | 2022년 7월 ~ 2022년 10월 |
파벨 하팔 | 2022년 10월 ~ |
8. 역대 우승 기록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체코슬로바키아 시대를 포함하여 4번의 리그 우승 경험이 있는, 체코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클럽 중 하나이다. 국제 경기에서는 1989년 미트로파 컵 우승을 비롯하여, 1974년 UEFA컵 8강, 1978년 UEFA 컵 위너스 컵 준결승, 1981년 UEFA 챔피언스 컵 8강 진출 등의 성과를 기록했다.
대회 | 우승 |
---|---|
미트로파컵 | 1989 |
8. 1. 국내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국내 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대회 | 우승 | 준우승 |
---|---|---|
체코슬로바키아 1부 리그 / 체코 1부 리그 | 1975–76, 1979–80, 1980–81, 2003–04 (4회) | 1954, 1978–79, 1981–82, 1982–83, 1988–89, 1989–90 (6회) |
체코슬로바키아 컵 / 체코 컵 | 1972–73, 1977–78, 1990–91, 2004–05 (4회) | 1978–79, 2003–04, 2005–06, 2018–19 (4회) |
1993년부터 2023-24 시즌까지의 리그 및 컵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컵 |
---|---|---|---|---|---|---|---|---|---|---|---|
1993–94 | 1. 리가 | 3위 | 30 | 14 | 8 | 8 | 52 | 25 | +27 | 36 | 준결승 |
1994–95 | 1. 리가 | 11위 | 30 | 10 | 8 | 12 | 36 | 41 | –5 | 38 | 8강 |
1995–96 | 1. 리가 | 12위 | 30 | 10 | 5 | 15 | 40 | 46 | –6 | 35 | 16강 |
1996–97 | 1. 리가 | 10위 | 30 | 8 | 13 | 9 | 33 | 35 | –2 | 37 | 준결승 |
1997–98 | 1. 리가 | 4위 | 30 | 13 | 11 | 6 | 51 | 35 | +16 | 50 | 8강 |
1998–99 | 1. 리가 | 5위 | 30 | 10 | 15 | 5 | 39 | 26 | +13 | 45 | 8강 |
1999–00 | 1. 리가 | 11위 | 30 | 8 | 11 | 11 | 43 | 45 | –2 | 35 | 32강 |
2000–01 | 1. 리가 | 14위 | 30 | 7 | 9 | 14 | 28 | 45 | –17 | 30 | 8강 |
2001–02 | 1. 리가 | 6위 | 30 | 12 | 8 | 10 | 43 | 36 | +7 | 44 | 준결승 |
2002–03 | 1. 리가 | 5위 | 30 | 13 | 6 | 11 | 41 | 38 | +3 | 45 | 8강 |
2003–04 | 1. 리가 | 1위 | 30 | 18 | 9 | 3 | 60 | 25 | +35 | 63 | 준우승 |
2004–05 | 1. 리가 | 7위 | 30 | 9 | 10 | 11 | 33 | 36 | –3 | 37 | 우승 |
2005–06 | 1. 리가 | 6위 | 30 | 10 | 10 | 10 | 35 | 32 | +3 | 40 | 준우승 |
2006–07 | 1. 리가 | 7위 | 30 | 12 | 10 | 8 | 43 | 33 | +10 | 46 | 16강 |
2007–08 | 1. 리가 | 3위 | 30 | 15 | 10 | 5 | 51 | 28 | +23 | 55 | 64강 |
2008–09 | 1. 리가 | 9위 | 30 | 11 | 6 | 13 | 38 | 36 | +2 | 39 | 8강 |
2009–10 | 1. 리가 | 3위 | 30 | 17 | 9 | 4 | 47 | 25 | +22 | 60 | 16강 |
2010–11 | 1. 리가 | 14위 | 30 | 7 | 9 | 14 | 31 | 46 | –15 | 30 | 64강 |
2011–12 | 1. 리가 | 14위 | 30 | 7 | 7 | 16 | 31 | 48 | –17 | 28 | 8강 |
2012–13 | 1. 리가 | 14위 | 30 | 7 | 8 | 15 | 34 | 44 | –10 | 29 | 32강 |
2013–14 | 1. 리가 | 10위 | 30 | 8 | 11 | 11 | 33 | 43 | –10 | 35 | 32강 |
2014–15 | 1. 리가 | 14위 | 30 | 8 | 9 | 13 | 23 | 41 | –18 | 33 | 16강 |
2015–16 | 1. 리가 | 16위 | 30 | 4 | 2 | 24 | 27 | 65 | -38 | 14 | 64강 |
2016–17 | 2. 리가 | 2위 | 30 | 18 | 10 | 2 | 48 | 20 | +28 | 64 | 32강 |
2017–18 | 1. 리가 | 13위 | 30 | 7 | 10 | 13 | 36 | 43 | –7 | 31 | 8강 |
2018–19 | 1. 리가 | 5위 | 36 | 13 | 8 | 15 | 39 | 44 | –5 | 47 | 준우승 |
2019–20 | 1. 리가 | 6위 | 35 | 12 | 11 | 12 | 47 | 43 | +4 | 47 | 8강 |
2020–21 | 1. 리가 | 8위 | 34 | 13 | 10 | 11 | 48 | 38 | +10 | 49 | 16강 |
2021–22 | 1. 리가 | 5위 | 35 | 15 | 10 | 10 | 59 | 47 | +12 | 55 | 16강 |
2022–23 | 1. 리가 | 11위 | 35 | 11 | 9 | 15 | 53 | 50 | +3 | 42 | 16강 |
2023–24 | 1. 리가 | 4위 | 35 | 14 | 7 | 14 | 56 | 48 | +8 | 49 | 16강 |
8. 2. 국외
미트로파컵과 미트로파 슈퍼컵에서 1989년에 우승하였다.[3]9. 유럽 대회 성적
FC 바니크 오스트라바는 체코슬로바키아 시대를 포함하여 4번의 리그 우승 경험이 있으며, 국제 경기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89년 미트로파 컵 우승, 1974년 UEFA컵 8강, 1978년 UEFA 컵 위너스 컵 준결승, 1981년 UEFA 챔피언스 컵 8강에 진출하였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팀 | 홈 | 원정 | 합계 |
---|---|---|---|---|---|---|
2004–05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3라운드 | 레버쿠젠 | 2–1 | 0–5 | 2–6 |
UEFA컵 | 1라운드 | 미들즈브러 | 1–1 | 0–3 | 1–4 | |
2005–06 | UEFA컵 | 1라운드 | 헤렌벤 | 2–0 | 0–5 | 2–5 |
2008–09 | UEFA컵 | 예선 3라운드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0–1 | 1–1 | 1–2 |
2010–11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WIT 조지아 | 0–0 | 6–0 | 6–0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3라운드 | 드네프르 모길레프 | 1–2 | 0–1 | 1–3 | |
2024–25 | UEFA 컨퍼런스 리그 | 2라운드 | 우라르투 | 5–1 | 2–0 | 7–1 |
3라운드 | 코펜하겐 | 1–0 | 0–1 | 1–1 |
참조
[1]
문서
Bruzl and Šiřina 2004, 6
[2]
문서
Bruzl and Šiřina 2004, 8
[3]
문서
Bruzl and Šiřina 2004, 9
[4]
문서
Bruzl and Šiřina 2004, 11
[5]
문서
Bruzl and Šiřina 2004, 13
[6]
웹사이트
FCB.cz: Přehled umístění v lize
http://www.fcb.cz/hi[...]
[7]
웹사이트
Czechoslovakia – List of Cup Finals
https://www.rsssf.or[...]
2017-07-20
[8]
웹사이트
Czechoslovak Cup Final 1960/61 – 1992/3
http://www.czechsocc[...]
2010-07-03
[9]
웹사이트
Czech Republic – List of Champions
https://www.rsssf.or[...]
2017-08-24
[10]
웹사이트
FC Banik Ostrava: Venue
https://uk.soccerway[...]
Perform
2018-05-11
[11]
웹사이트
Divácké statistiky 2009/2010
http://fotbal.idnes.[...]
2010-05-12
[12]
웹사이트
Divácké statistiky 2008/2009
http://fotbal.idnes.[...]
2010-05-12
[13]
URL
Divácké statistiky 2007/2008
http://fotbal.idnes.[...]
[14]
웹사이트
Guachare, 26 December 2006
http://zdeneksebesta[...]
2010-05-12
[15]
웹사이트
Chachaři.cz: GKS Katowice – FC Baník Ostrava 2:1 – Ja kocham GKS
http://www.chachari.[...]
2010-05-12
[16]
웹사이트
Soupiska
https://www.fcb.cz/s[...]
FC Baník Ostrava
[17]
웹사이트
Detailed stats
http://en.fortunalig[...]
Fortuna liga
[18]
웹사이트
Detailed stats: Games
http://en.fortunalig[...]
Fortuna liga
[19]
URL
http://www.fcb.cz/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